HTML5에서 웹이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하여 쓸 수 있는 Web Storage다.
Object 형태로 저장하고 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조회한다.
우리가 흔히 아는 Local Stroage와 Session Storage가 바로 이 Web Storage이다.
Web Storage
Local Storage | Session Storage |
영구 저장소 (클라이언트가 직접 삭제하기 전까지는 지워지지 않는다.) | 임시 저장소 (브라우저가 종료될 때 삭제된다.) |
저장된 객체에 접근이 가능하다. localStorage.getItem() localStorage.setItem() JSON을 사용하면 배열도 저장할 수 있다. |
|
자동로그인 | 비로그인 장바구니 |
Cookie
사실상 Cookie의 단점을 보완하여 나온 것이 Web Stroage인 것 같다.
Cookie | Web Storage |
용량제한, 시간제한, 갯수제한(20개) | 용량제한 |
시간제한 설정 가능(ex. 광고 7일동안 보지 않기) | 시간제한 설정 불가능 |
문자열만 저장 가능 | JSON으로 객체도 저장 가능 |
데이터 전송 시 모든 쿠키를 전송해야함 | 데이터 전송 시 개발자가 선택한 것만 전송 가능 |
같은 브라우저면 다른 탭, 창이어도 같은 세션이라고 인식 | 같은 브라우저라도 다른 탭이면 다른 세션이라고 인식 |
'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론트엔드의 WebPack (0) | 2024.05.29 |
---|---|
가비지 컬렉션? 가비지 컬렉터? (0) | 2024.05.29 |
프론트개발자가 알아야 하는 HTTP통신 (1) | 2024.01.10 |
Virtual Dom, 가상돔 ? (1) | 2024.01.10 |
SASS ? SCSS ? 뭐가다른디 (0) | 2024.01.10 |